본문 바로가기
  • 잼재미 교사의 이야기 DAY

전체 글132

기아 사회공헌 사업 프로그램 진행 및 1:1 컨설팅 잼재미master 1:1 컨설팅 받은 피설계자의 보고서 중 일부 발췌 다재다능하고, 멀티플레이어 스타일 ***님은 적응력과 응용력이 뛰어나며, 다원화되고 복잡다단한 능력을 요구하는 현대 시대에 잘 적응하여, 4차원산업혁명시대에서 가장 각광받는 복합형과 아이디어가 풍부하고 개성이강한 창조형을 주성향으로 가지고 있습니다. 아울러 비용대비 효율성을 따지며, 손해가 나거나 이익이 될 사안은 신중하게 결정하는 실용형을 부성향으로 가지고 있습니다. 직업을 결정할 때, 장기간 규칙적인 곳에 얽매이는 직업보다는, 단기간 프로젝트를 만들어가는 직무나, 프리랜서로서 활동을 하되 일하는 댓가가 정확하게 주어지는 직업을 선택해야 만족도가 높은 성향입니다. 컨설팅 전의 질문에 ***님은 어렸을 때는 화가가 꿈이었고, 좋아하는 .. 2025. 8. 22.
산돌자연학교 진로강의 및 1:1컨설팅 진행 너무 맑고 순수한 너희들이라 고마워!무럭무럭 잘 자려주렴~ 2025. 8. 22.
진로&심리디자인연구소 진담 2025. 8. 22.
동화-비 오는 날 1. 동화 - 비 오는 날 초롱이는 비 오는 날을 좋아했어요.우산을 쓰고 싶어서였지요.“와 , 비가 온다.”비가 오자 초롱이는 우산을 쓰고 밖으로 나갔어요.꽃밭에는 꽃들이 피어 있었지요.“해바라기야, 내가 우산을 씌워 줄까?”“난 비 맞는 걸 좋아해.”풀밭에 개구리가 앉아 ‘개굴개굴’노래를 부르고 있었어요.“개구리야! 개구리야! 내가 우산을 씌워 줄까?”“개굴개굴. 괜찮아, 난 비 맞는 걸 무척 좋아해.”개구리도 싫다고 했어요.파란 잎사귀 위로 달팽이가 느릿느릿 기어가고 있었어요.“달팽이야! 달팽이야! 내가 우산을 씌워 줄까?”“난 비 맞는 걸 굉장히 좋아해.”초롱이는 그만 슬퍼졌어요.그때 나뭇잎 뒤에 숨어 있던 나비가 말했어요.“초롱아, 난 우산을 쓰고 싶어.”“나비구나. 알았어, 내가 씌워 줄게.”“.. 2025. 5. 11.
동시-올챙이 1. 동시 - 올 챙 이                       이경애 지금은온몸으로힘들게 힘들게 헤엄치지만, 두고 봐 언젠간 뒷다리로 땅을 박찰거야. 힘차게2. 지도 방법1) 개구리에 대해 이야기 나누기 - 개구리 하면 떠오는 거 브레인 스토밍, 개구리나 올챙이를 본 경험 이야기 나누기, 개구리가 올챙이 되는 과정 짧은 영상보기 등2) 낭독 해 주기3) 교구나 영상으로 한번 더 들려주기4) 동시를 듣고 이야기 나누기 - 아이들에게 동시를 듣고 어떤 생각이 드는지 어떤 느낌이 드는지, 무슨 생각이 떠 올랐는지 등에 대해 이야기 나누기5) 한줄씩 따라 해 보기6) 다같이 함께 낭송 해 보기7) 손동작으로 동시 표현 해 보기8) 신체 표현 해 보기 - 올챙이 동시와 어울리는 음악준비 후 자유롭게 몸으로 표현.. 2025. 4. 10.
제 3장. 동화구연 실제 - 띄어 읽기 5. 띄어 읽기구연을 할 때 띄어 읽기는 예시처럼 호흡과 관계가 있으며, 이야기 흐름에 영향을 주므로 매우 중요하다. 예시1 ) 그 / 새끼양을 / 잘 키워야 할텐데......         잘못 된 띄어 읽기 - 그새끼 / 양을 잘 키워야 할텐데...... 예시2) 아빠가/ 방에 / 계신다.잘못 된 띄어 읽기 - 아빠/가방에/계신다. 그럼 어떤 곳에서 띄어읽어야 할까?  ① 주어와 술어 사이는 띄어 읽는다.귀여운 아기 호박이 / 웃고 있었어요. ② 부사 다음은 띄어 읽는다. 확실히, 정말, 꼭, 반드시, 만약, 제발, 비로소, 아마, 글쎄, 부디……. - 글쎄 / 잘 모르겠는데요.- 어느 날 / 나비들은 / 봄나들이 나갔어요. ③년, 월, 일, 시, 숫자는 띄어 읽는다.  - 그 일은 / 2000년 /.. 2025. 3. 12.
봄 손유희 - 작은 씨앗 하나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5. 3. 1.
-신학기 손유희 - 작은 아이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5. 3. 1.
제 3장. 동화구연 실제 - 동화의 분석과 목소리 설정 방법 3. 동화의 분석묵독, 음독으로 띄어 읽기 장 단음, 감정풀이, 강조될 부분 등을 분석하며 동화의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한다. ※ 구연하기까지의 과정 ① 묵독 : 글의 의미 파악과 줄거리의 이해를 위하여 눈으로 집중해서 읽는다. ② 음독 : 이야기의 흐름 이해, 등장인물 성격 파악, 목소리 설정 후정확한 발음, 띄어 읽기, 감정표현에 중점을 두어 읽는다. ③ 구연 : 일인 다역의 역할을 자연스럽게 연기하며 작가가 이야기하는 주제를 전달한다.4. 목소리 설정 방법 ① 해설 : 밝고 부드러우며 생명력 있는 소리로 동화의 내용과 흐름에 따라 목소리 변화를 주며 자연스럽게 구연한다. ② 동화의 전체적 느낌에 따라 목소리 설정을 하고, 전체적인 흐름의 표현기법과 작게는 단어의 느낌표현을 어떻게 할 것인가 설정 한 .. 2025. 2.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