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3장. 동화구연 실제 - 띄어 읽기
5. 띄어 읽기구연을 할 때 띄어 읽기는 예시처럼 호흡과 관계가 있으며, 이야기 흐름에 영향을 주므로 매우 중요하다. 예시1 ) 그 / 새끼양을 / 잘 키워야 할텐데...... 잘못 된 띄어 읽기 - 그새끼 / 양을 잘 키워야 할텐데...... 예시2) 아빠가/ 방에 / 계신다.잘못 된 띄어 읽기 - 아빠/가방에/계신다. 그럼 어떤 곳에서 띄어읽어야 할까? ① 주어와 술어 사이는 띄어 읽는다.귀여운 아기 호박이 / 웃고 있었어요. ② 부사 다음은 띄어 읽는다. 확실히, 정말, 꼭, 반드시, 만약, 제발, 비로소, 아마, 글쎄, 부디……. - 글쎄 / 잘 모르겠는데요.- 어느 날 / 나비들은 / 봄나들이 나갔어요. ③년, 월, 일, 시, 숫자는 띄어 읽는다. - 그 일은 / 2000년 /..
2025. 3. 12.
제 3장. 동화구연 실제 - 좋은 목소리
2. 화술의 실제(1) 좋은 목소리 미성이 아니라 개성 있고 자연스러운 목소리가 이야기에 몰입하게 한다.①건강한 목소리, ②음조가 낮으며 떨림이 없는 소리, ③호소력 있는 목소리, ④밝은 목소리, ⑤자신 있고 힘이 담긴 목소리, ⑥사랑이 담긴 목소리(2) 정확한 발음 동화구연은 올바른 발음을 통해 명확하게 내용을 전달하는 것이 기초가된다. ☻ 모음 발음 연습 - 목의 모양을 동그랗게 만든다는 의식을 갖고 입을크게 벌려 발성 ☻ 자음 발음 연습 - 숨은 깊게 쉬고 배에서 나오는 소리로 발성 ☻ 표준 발음 연습 :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하기 위한 기본이자 필수 ☻ 이중모음발음 : 늴리리[닐리리], 무늬[무니], 씌어[씨어] ☻ 받침의 발음 : 넋과[넉꽈], 밟다[밥:따], 맑다[막따] 젖이[저지], ..
2024. 11. 7.
제 2장 동화구연기법_발음 연습
(8) 발음 연습☞ 큰말 작은말줄줄줄-졸졸졸, 풍덩풍덩-퐁당퐁당, 둥둥둥-동동동, 번쩍번쩍-반짝반짝, 투덕투덕-토닥토닥, 터벅터벅-타박타박, 수북수북-소복소복, 부글부글-보글보글, 껑충껑충-깡총깡총, 너풀너풀-나폴나폴, 부슬부슬-보슬보슬 ☞ 의태어(모양말) 깡충깡충, 폴짝폴짝, 대롱대롱, 투둑 투둑 야~호, 보슬보슬뒤뚱뒤뚱, 꾸뻑꾸뻑, 와삭와삭, 싱글벙글, 엉금엉금, 빙글빙글, 꿈틀꿈틀, 살랑살랑, 살금살금, 반짝반짝, 나풀나풀, 모락모락 ★ 아이들을 지도할때는 놀이식으로토끼는? 깡충깡충(껑충껑충), 거북이는? 엉금엉금, 오리는? 뒤뚱뒤뚱, 공은? 데굴데굴 ☞의성어 (소리말)꾀꼴꾀꼴, 야옹야옹, 개굴개굴, 뚝딱뚝딱, 딸랑딸랑, 보글보글, 뽀드득 뽀드득..
2024. 8. 8.
제 2장 동화구연 기법_음성의 높낮이 연습
(6) 발성을 통한 음성의 높낮이 연습☞ 3단계 발성 소리의 높이를 3단계로 나누어 발성해 보며, 구연자 자신의 낮은음, 중간음, 높은음을 감지한다. - 99 (높은음으로 길게 아~) : 엄마, 아기가 자꾸 울어요! - 50 (보통음으로 길게 아~) : 엄마, 아기가 안 자요! - 0 (낮은음으로 길게 아~) : 아가야, 자장자장 ☞ 5단계 발성 - 99 (비명, 크라이막스 부분에 강세) - 거의 동작으로 대신 - 75 (높은음 - 기쁠 때, 화났을 때, 급박한 상황에) - 50 (보통음 - 대화나 해설에서 가장 많이 사용) - 25 (낮은음 - 자신과의 약속, 낙담, 슬픔, 감정이 가라앉음) - 0 (아주 낮은음 - 시음, 무성음에 가까운 중얼거림 동화에서 거의 쓰지 않음) (7) 신체부위..
2024. 7.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