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잼재미 교사의 이야기 DAY

4. 동화구연 DAY13

제 2장. 동화구연 기법_단계별 호흡 연습 (4) 단계별 호흡 연습1) 호흡훈련 1단계 : 들숨, 날숨으로 호흡 해 보기 2) 호흡훈련 2단계 : 둘숨, 머금숨, 날숨순으로 호흡해 보기 3) 호흡훈련 3단계 : 양손바닥을 펴서 5-6㎝ 정도의 거리에 두고 호기가     나오는지 확인 (콸콸콸....퉤퉤퉤....팡팡팡...철철철.....)4) 호흡량 기르기     ⒜ 아~~~~~~~~~~~ (들숨 후 소리 낼 수 있을 때까지)    ⒝ 사나이로/태어나서/할 일도 많다만/너와 나...         (음정 무시하고 /기호가 있는데 까지 한 번의 호기 씀)    ⒞ 잠에서 깬 아저씨는 깜짝 놀랐어요.         아 글쎄, 원숭이들이 모자를 쓰고         나무 위로 달아나는게 아니겠어요?5) 들숨과 날숨으로 표현 해 보기     작은 공 하나가.. 2024. 7. 1.
제 2장. 동화구연 기법 _올바른 발성법 (3) 올바른 발성법 아름다운 소리를 내기 위해서는 발성법을 바르게 익혀야 한다.   1) 자세  - 자연스럽고 편안하게 한다. - 시선은 정면보다 조금 위를 향한다. - 입을 충분히 벌린다. - 가슴을 편다. - 어깨와 목의 힘을 뺀다. - 몸을 바르게 한다. - 팔은 자연스럽게 내린다. - 한쪽 발을 조금 앞으로 내밀어 몸 전체의 힘을 받쳐준다.2) 호흡 - 복식호흡을 한다.- 입과 코로 빠르게 들어마신 후, 배 속에서 천천히 내쉰다.- 숨을 들어 마실 때는 횡격막이 위쪽으로 하고 , 숨을 내리 쉴 때는 횡격막을 아래쪽으로 한다. 3) 발성 - 목에 무리한 힘을 주지 말고 소리를 낸다.4) 공명 - 사람의 입 모양은 악기의 공명관과 같은 구실을 하므로, 성대를 진동시켜 생긴 소리가 머리 부분에서 울려.. 2024. 6. 28.
제 2장. 동화구연 기법 _화술의 개념, 화술의 기초 3. 화술(1) 화술의 개념화술은 구연동화의 생명으로 이야기를 전달하는 직접적인 기술이다. 아무리 내용이 교육적이고 재미있다 하더라도 화술이 부족해서 제대로 전달되지 않기때문이다.사람은 누구나 자기가 타고난 음색이 있고 두 옥타브 정도의 음폭에서 높낮이를 조절해서 이야기 할 수 있다. 음성이 예뻐야 동화구연을 잘 하는 것이 아니다.   이야기에 감정을 얼마나 잘 이입시켰느냐에 따라 구연을 잘 한다고 말할 수 있다. 음성보다 중요한 것이 감정표현이다. 그러므로 자기 개성과 음성에 맞는 동화를 선택한 뒤 내용을 충분히 이해하고 내용에 적절한 감정을 넣어 이야기를 하면 누구나 구연을 할 수 있다. 그럼 그 표현을 어떻게 해야 이야기 맛을 살릴까? 단지 목소리만을 사용하는 것이 구연이므로 목소리의 고저, 강약,.. 2024. 6. 27.
제 1장. 동화구연(童話口演) 1. 동화구연의 개념  동화구연이란 동화를 입으로 연기하듯이 들려주는 활동을 말한다. 그에 비해 ‘구연동화(口演童話)’란 눈으로 읽는 문장 동화를소리 내어 읽는 구연동화로 바꾸어 놓은 것으로 작품 그 자체를 말한다.  우리나라에 동화구연이 대중적으로 알려지기 시작한 것은 1920년대 색동회를 중심으로 소파 방정환 선생님이 전국을 돌며 ‘동화회’를 열면서부터이다. (석용원, 1993) 동화구연의 기본 요소로는 구연자, 이야기, 듣는 사람 세 가지를 들 수 있는데 레인즈와 이즈벨(Raines & Isvell. 1994)은 동화구연을 하는 사람이나 듣는 사람은 “이야기의 힘을 신뢰하며 어린이들은 이야기를 듣는 과정을 통해 이야기 감을 발달 시키고 나아가서는 자신이 스토리 텔러로서 남들에게 자신들의이야기를 다시.. 2024. 6.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