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잼재미 교사의 이야기 DAY

2024/0611

어르신 손유희 - 치매예방 손유희 - 고기잡이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4. 6. 29.
제 2장. 동화구연 기법 _올바른 발성법 (3) 올바른 발성법 아름다운 소리를 내기 위해서는 발성법을 바르게 익혀야 한다.   1) 자세  - 자연스럽고 편안하게 한다. - 시선은 정면보다 조금 위를 향한다. - 입을 충분히 벌린다. - 가슴을 편다. - 어깨와 목의 힘을 뺀다. - 몸을 바르게 한다. - 팔은 자연스럽게 내린다. - 한쪽 발을 조금 앞으로 내밀어 몸 전체의 힘을 받쳐준다.2) 호흡 - 복식호흡을 한다.- 입과 코로 빠르게 들어마신 후, 배 속에서 천천히 내쉰다.- 숨을 들어 마실 때는 횡격막이 위쪽으로 하고 , 숨을 내리 쉴 때는 횡격막을 아래쪽으로 한다. 3) 발성 - 목에 무리한 힘을 주지 말고 소리를 낸다.4) 공명 - 사람의 입 모양은 악기의 공명관과 같은 구실을 하므로, 성대를 진동시켜 생긴 소리가 머리 부분에서 울려.. 2024. 6. 28.
여름동화 - 동글동글 동글이 1. 동화 - 동글동글 동글이 어? 동그란 아이 누구일까요? "나는 동글동글 동글이에요. 난 무엇이든 잘 참아내는 아이지요?"그러자 해님이 말했어요."호호호, 그래, 그럼 이 뜨거운 햇볕을 잘 참아 낼 수있을까? 에잇!""앗, 뜨거워! "동글이는 뜨거운 햇볕에 속이 빨갛게 데였어요."그래도 난 견뎌낼테야." 어느 날 비구름이 해를 가리며 나타났어요."하하하, 제법이군. 그렇지만 이 힘세고 차가운 비도 견뎌낼 수 있을까? 쏴아 쏴아!""앗, 차가워"동글이는 세찬 비에 몸이 파랗게 멍들었어요.너무 차가워서 몸이 꽁꽁 얼어붙을 것 같았지요."그래도 난 견뎌낼테야. 꿀꺽 꿀꺽!"동글이는 물을 마시며 쑥쑥 컸어요. 그런데 이번엔 번개가 천둥울 물고왔어요."어디 그럼, 이 번개님이 나서볼까? 에잇! 번쩍! 우르르 .. 2024. 6. 28.
여름동화 - 으뜸 헤엄이 1. 동화(개작) - 으뜸헤엄이 깊은 바닷속에 작은 물고기들이 행복하게 살고 있었어요.그 중 한 마리는 검은색의 물고기였지요."내 이름은 으뜸이, 누구보다도 빨리 헤엄칠 수 있어."으뜸헤엄이는 빨간 물고기들의 친한 친구였지요. 그러던 어느 날 이었어요.커다란 물고기가 나타나 빨간 물고기떼를 꿀꺽 삼켜버리는게 아니겠어요.으뜸헤엄이는 겨우 도망을 쳤지만, 몹시 슬펐어요.'빨간 물고기들이 보고 싶어.' 한참을 헤엄쳐 가다보니 바위와 물풀사이에 빨간 물고기들이 보이는게 아니겠어요."애들아, 함께 헤엄치며 놀자."으뜸 헤엄이가 기뻐서 소리쳤어요."안돼! 큰 물고기들한테 모두 잡아먹히고 말거야."빨간 물고기들이 무서워하며 말했어요. '그렇다고 언제까지나 숨어 있을 수는 없어. 무슨 좋은 생각이 없을까?'으뜸헤엄이는.. 2024. 6. 27.
제 2장. 동화구연 기법 _화술의 개념, 화술의 기초 3. 화술(1) 화술의 개념화술은 구연동화의 생명으로 이야기를 전달하는 직접적인 기술이다. 아무리 내용이 교육적이고 재미있다 하더라도 화술이 부족해서 제대로 전달되지 않기때문이다.사람은 누구나 자기가 타고난 음색이 있고 두 옥타브 정도의 음폭에서 높낮이를 조절해서 이야기 할 수 있다. 음성이 예뻐야 동화구연을 잘 하는 것이 아니다.   이야기에 감정을 얼마나 잘 이입시켰느냐에 따라 구연을 잘 한다고 말할 수 있다. 음성보다 중요한 것이 감정표현이다. 그러므로 자기 개성과 음성에 맞는 동화를 선택한 뒤 내용을 충분히 이해하고 내용에 적절한 감정을 넣어 이야기를 하면 누구나 구연을 할 수 있다. 그럼 그 표현을 어떻게 해야 이야기 맛을 살릴까? 단지 목소리만을 사용하는 것이 구연이므로 목소리의 고저, 강약,.. 2024. 6. 27.
제 1장. 동화구연(童話口演) 1. 동화구연의 개념  동화구연이란 동화를 입으로 연기하듯이 들려주는 활동을 말한다. 그에 비해 ‘구연동화(口演童話)’란 눈으로 읽는 문장 동화를소리 내어 읽는 구연동화로 바꾸어 놓은 것으로 작품 그 자체를 말한다.  우리나라에 동화구연이 대중적으로 알려지기 시작한 것은 1920년대 색동회를 중심으로 소파 방정환 선생님이 전국을 돌며 ‘동화회’를 열면서부터이다. (석용원, 1993) 동화구연의 기본 요소로는 구연자, 이야기, 듣는 사람 세 가지를 들 수 있는데 레인즈와 이즈벨(Raines & Isvell. 1994)은 동화구연을 하는 사람이나 듣는 사람은 “이야기의 힘을 신뢰하며 어린이들은 이야기를 듣는 과정을 통해 이야기 감을 발달 시키고 나아가서는 자신이 스토리 텔러로서 남들에게 자신들의이야기를 다시.. 2024. 6. 26.
어르신 손유희 - 햇볕은 쨍쨍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4. 6. 22.
여름 손유희-참 재미있었지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4. 6. 19.
어르신 손유희 - 어리둥절 코끼리나라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4. 6. 17.